「분석과 대안」 투고 및 원고작성 기준
Ⅰ. 투고 방법
1. 「분석과 대안」에 게재할 논문은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 연구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고 학문적 기여도가 높은 연구논문과 연구노트로 한다. 논문 주제는 사회과학 및 인류학(경제, 국제관계, 외교, 사회 및 복지, 인류학, 개발, 역사, 교육 등)과 관련한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게재신청 논문의 내용이 「분석과 대안」의 편집방향과 맞지 않는다는 편집위원회의 판정이 내려질 경우 해당 논문을 심사에 회부하지 않고 사유를 첨부하여 저자에게 반송한다. 제출 원고는 「분석과 대안」 원고 작성 요령에 따라 쓴다. 이 요령에 따르지 않은 원고는 수정을 위해 저자에게 반환된다.
2. 본 연구원의 회원 여부와 상관없이 분석과 대안의 논문 주제와 관련한 연구자는 「분석과 대안」에 투고할 수 있다.
3. 논문의 연구자가 1인일 경우 주저자와 공동저자 표시를 생략한다. 논문의 연구자가 2인 이상일 경우 주저자는 제1저자로 표기하고 나머지 공동저자는 모두 공동저자로 표기한다. 단, 공동저자 중 교신저자가 있을 경우 이를 교신저자로 표기하되, 제1저자가 교신저자일 경우 교신저자를 표기하지 않는다.
※ 저자의 구분
투고논문의 저자는 교신저자, 제1저자, 공동저자로 구분하며, 역할과 책임은 다음과 같다.
(1) 교신저자
논문의 최종본을 작성하고 승인하여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자로서 논문심사과정에서 reviewer와 교신하고, 출판 이후에도 논문의 내용에 책임을 지며 독자와의 교신도 책임진다. 여러 저자명 중에 가장 끝에 배치되나 제1저자도 이런 역할을 하였다면 교신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논문발표 이후에도 실험노트와 자료를 보관하게 될 사람이 교신저자가 되어야 한다.
(2) 제1저자
저자 중 이름이 가장 앞에 배치되는 사람으로 통상적으로 주저자라 불린다. 데이터와 정보를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 해석하고 원고의 초안을 작성한 자를 말한다. 이들 간의 배치 우선순위는 실험 및 데이터 수집, 결과 해석, 초안 작성한 자의 순이다.
(3) 공동저자
연구와 논문제작과정에 참여하였으나 제1저자나 교신저자가 아닌 자로 그 이름은 이 둘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의 이름 등재 여부와 순서는 연구에 기여한 공헌도에 따라 제1저자와 교신저자에 의해 결정되며, 그러나 이 순서는 공동저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4. 투고된 논문은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이 심사하며, 단행본이나 다른 학술지(대학교지 포함)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또한 다른 학술지에 심사 중인 논문은 해당 학회지의 심사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제출하여야 한다. 단, 抄本(Working paper)의 형태로 발표된 논문은 이 규정의 위반에 해당되지 않는다. 공개 또는 비공개된 프로젝트 보고서는 게재하지 않는다. 만약 타 학술지에 중복으로 게재 신청한 경우 향후 2년 동안 「분석과 대안」에 게재 신청을 할 수 없으며, 아울러 해당 타 학술지 발행인에게 이 사실을 통보한다.
5. 투고된 논문이 학위논문의 축약본이나 일부일 경우, 학술대회 발표논문일 경우에는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6. 「분석과 대안」은 년 3회 발간하며, 각 호 논문 접수 마감일은 다음과 같다. 논문 접수 마감일 이후에 접수된 논문은 제출자가 동의하는 경우 익월호 게재를 위한 심사를 진행한다. 1호-1월 15일, 2호-5월 15일, 3호-9월 15일
7. 「분석과 대안」에 논문을 게재하는 저자는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ACOMS)을 통해 ‘연구윤리 준수 서약’과 ‘논문사용권 등 위임 동의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8. 심사철회 요청투고자는 논문 접수 익일부터 7일 이내에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ACOMS)을 통해 투고한 논문의 심사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
9. 게재가 결정된 논문의 최종본은 「분석과 대안」 투고 및 원고작성 기준에 의해 작성하고 이를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ACOMS)을 통해 편집위원회에 파일형태로 송부하여야 한다.
Ⅱ. 원고작성 방법
1. 투고 논문은 본 학술지 논문 편집 양식에 맞춰 한글 논문은 HWP 한글 탬플릿 25매, 외국어 논문은 MS word 탬플릿 20매 이내로 작성되어야 하며, 규정 분량을 초과하는 논문은 투고가 거부될 수 있다. 논문에는 영문으로 요약문을 첨부한다. 영문 요약문은 400단어 내외로 하여 다른 페이지에 작성하되, 논문을 대표할 수 있는 주제어(Keywords) 5개 내외를 영문요약 다음에 각각 제시한다.
2. 투고 논문은 한글,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로 작성할 수 있다. 학술용어 및 강조되는 용어의 표현은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외국어로 병기할 수 있다. 단, 외국어 중 고유명사는 원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3. 논문 제1면에는 한글로 제목과 투고자의 성명(저자 및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 제1저자․교신저자․공동저자를 구분하여 명기), 소속기관, 직명, E-mail, 영문요약, 주제어와 목차를 명확히 표기한다. 소속기관과 직명, 연구비 후원 등에 관하여는 하단에 주석처리로 표기한다.
4. 저자는 본문에서 신원이 파악될 수 있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해서는 안된다.
5. 투고논문이 학위논문의 축약본이나 일부일 경우, 학술대회 발표논문일 경우에는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6. 장, 절 등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Ⅰ. Ⅱ. Ⅲ., …
1.1, 1.2, …
1.1.1, 1.1.2,…
1.1.1.1, 1.1.1.2, …
1), 2), …
7. 본문 내의 표와 그림은 < 표1 >, < 그림1 >의 형식으로 순서에 따라 삽입하며, 출처는 표나 그림 우측 하단에 표기한다. 예)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콘텐츠산업백서』(2022),p.10.
Ⅲ. 출처표기법
1. 출처표기는 내주-참고문헌 방식의 APA스타일을 적용한다.
2. 한국어·일본어·중국어 논문의 경우 한국어 논문 출처표기법을, 로마자 논문의 경우 영어 논문 출처표기법을 따른다.
* 저서
한국어·일본어·중국어·한문 저서의 경우 괄호 안에 저자명과 출판연도, 또는 저자명, 출판연도, 페이지를 표기한다.
(저자명, 출판연도) 또는 (저자명, 출판연도, p.인용면수)
예) (리영희, 2006) 또는 (리영희, 2006, p.117)
로마자 저서의 경우 Last name과 출판연도, 또는 Last name, 출판연도, 페이지를 표기한다.
예) (Last name, 출판연도) 또는 (Last name, 출판연도, pp.인용면수) (Huntington, 1968) 또는 (Huntington, 1968, pp.17-20).
* 공저서 / 편저서
저자가 2명인 경우 두 저자의 이름 사이에 ‘&’를 표시한다.
예) (이내영&박은홍, 2004)
(Hardt&Negri, 2000)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고 ‘외’, ‘et al.’로 표시한다.
예) (한홍열 외, 2022)
(Michaud et al., 2000)
* 인터넷 / 신문자료
저자명 대신 출처의 표제를 표기한다.
예)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 2022)
(“Russian Damage and Destruction to Ukraine’s Food Storage Supplies”, 2022)
Ⅳ. 참고문헌 작성방법
1. 참고문헌은 1차 자료, 저서, 학술논문, 인터넷자료, 신문기사 및 기타 자료 순으로 정리한다.
2. 참고문헌은 한글, 로마자, 기타외국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문헌 순으로 배열하며, 각 문헌 저자명을 가나다, ABC 순으로 배열한다.
3. 단행본은 제목명을, 정기간행물인 경우 제목이 아닌 정기간행물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저서
- 한국어·일본어·중국어·한문 저서의 경우 저자명.(출판연도).저서명(판).발행처 순으로 표기한다.
예) 리영희. (2006). 전환시대의 논리(2). 서울: 창비.
예) Huntington, Samuel P.(1968).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공저서 / 편저서
- 저자가 2명인 경우 두 저자의 이름 사이에 ‘&’를 표시한다.
예) 이내영&박은홍.(2004). 동아시아의 민주화와 과거청산. 서울: 아연출판부
-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저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를 표시한다.
예) 윤성욱, 장세호, 장영희, 정구연, 제성훈&한홍열.(202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엇갈리는 세계. 서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예) Strange, Susan.(1973). “IMF: Monetary Managers”. in Robert W. Cox and Harold Jacobson(eds.). The Anatomy of Influ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논문
- 간행물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우경봉.(2022).통일 의식에 대한 연령 효과 분석: 수도권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과대안 제6권제1호.
예) Wiseman, Mary Bittner.(2007). Subversive Strategies in Chinese Avant-Garde Art.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65(1).
* 인터넷자료
- 온라인 자료는 저자명.(게시일).웹페이지 제목. 사이트명. URL (검색일) 순으로 작성하고 사이트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저자가 없는 경우 웹페이지 제목을 먼저 작성하고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중소벤처기업부.(2022).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199 (검색일: 2022.12.05).
예) FPC BRIEFING.(2022, September 16). Russian Damage and Destruction to Ukraine’s Food Storage Supplies. U.S.DEPARTMENT of STATE. https://www.state.gov/briefings-foreign-press-centers/russian-damage-and-destruction-to-ukraines-food-storage-supplies (검색일: 2022.12.12.).
* 신문기사
- 신문사명을 이탤릭체로 표시하고 URL을 표시한다.
예) 배영경.(2018년02월10일). 문재인-김정은 ‘3차 남북정상회담’ 언제쯤...변수는 북미관계.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80210058800001?input=1195m (검색일: 2022.12.02).
예) Ramon Pacheco Pardo.(2018, March 14,). Moon on a Mission: South Korea’s New Approach to the North. THE DIPLOMAT. https://thediplomat.com/2018/03/moon-on-a-mission-south-koreas-new-approach-to-the-north/ (검색일: 2022.12.12).